웹소설을 읽다 보면, 상태창이나 레벨·스탯 같은 '수치적' 요소가 자주 등장합니다. 처음엔 "이 단순한 숫자놀음이 정말 재밌을까?" 의문이 들지만, 막상 체험해 보면 "수치 상승의 재미"가 꽤 강력하다는 걸 깨닫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수치 표기법"이 왜 독자와 작가 모두에게 매력적인 장치인지, 수치의 장점과 단점, 그리고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가볍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웹소설에서 왜 '수치적 표현'이 자주 쓰일까?
✅ 직관적으로 주인공 성장 보여주기
주인공이 얼마나 강해졌는지 묘사하는 데에 지문을 할애할 필요가 없습니다. 더불어 독자들도 굳이 이해를 위한 지문을 피곤하게 읽지 않아도 됩니다. 간단하게 "주인공이 얼마만큼 성장했구나" 체감할 수 있습니다.
✅ 소소한 보상, 도파민
그로 인해서 주인공의 성장으로 인한 도파민을 얻습니다.
✅ 진입장벽이 낮다
공작이 어떻고, 변경백이 어떻고, 남궁형이 누구고, 천마나 마왕이 누군지 모르는 사람은 많아도 숫자를 모르는 사람을 찾아보긴 어렵습니다. 그렇기에 단순 수치 변화로 주인공의 성장을 알아채기에 어려움을 느끼는 독자도 없죠. 누가 봐도 주인공이 성장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 예시
- S급 헌터? 국가권력급 헌터? 올 스탯 무한? ➡️ 직관적 표현(구태여 이해하려고 노력할 필요 없음) ➡️ 겁나 세겠네?
- [힘이 33% 상승합니다.] ➡️ 직관적 표현 ➡️ 아, 주인공이 33%만큼 강해졌구나! (흡족, 도파민)
2. 장점. 수치 상승 = 터지는 도파민
위, 수치적 표현을 자주 쓰는 이유와 맥락을 같이 합니다. 직관적이고 간단한 보상체계로 기능하기에 즉각적인 카타르시스를 선사하게 되죠.
게임 속 "스탯 공격력, 투력, 공격력이나 주문력" 상승에 게이머들의 기분이 괜스레 좋아지듯 말입니다.
더불어 이런 수치 상승에서 오는 카타르시스는, 전개와는 상관없는 보상에 해당합니다. 그렇기에 고구마 전개(답답한 전개)에 수치 상승의 보상을 끼얹어 답답함을 어느 정도 중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 역시 존재합니다.
3. 단점. 숫자 중심, 파워 밸런스의 단순화와 인플레이션
물론 이러한 "수치 표기법"은 단점도 있습니다.
📌 보상의 역치가 너무 높아진다. = 예정된 파워 인플레이션
- 수치 상승으로 즉각적인 보상을 건네는 행위가 반복되면, 어지간한 수치 상승으론 독자가 만족하지 않는 지경에 이를 수 있습니다.
- 그렇기에 수치 상승폭은 신중하게 조절해야 합니다. 가령 레벨이 5씩 오르다가 갑자기 오르지 않게 되면, 독자는 답답해집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보상과 적절히 섞어, 수치 상승으로 오는 도파민에만 의존하지 않아야 합니다.
📌 직관적으로 표기된 '전투력'이 싸움의 추이를 너무 단순하게 만든다.
- 직관적이어서 좋았지만, 단순해질 수 있습니다.
- 그렇기에 독자는 긴장이 덜해지죠, 예측이 너무 쉬워집니다.
4.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
수치 표기법은 분명 편하게 읽는 '웹소설'이라는 콘텐츠에 최적화된 기법입니다. 그럼에도 과용하면 작품이 너무 단순해지고 긴장감이 말라붙어버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니, 적절히 밸런스를 조절할 필요가 있습니다.
✅ 수치 표기법의 적절한 활용법
- 수치만으로 모든 보상을 퉁치지 않습니다.
레벨과 스테이터스의 상승은 보상의 '일환'이어야지, 전부가 되어선 안 됩니다. 인물 간 관계의 발전, 목표 달성 등 주된 보상의 곁다리 역할을 부여하는 게 좋습니다. - 독자의 더 큰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과한 수치 상승을 사용하면 안 됩니다.
"미래를 팔아 현재를 얻는다."는 행위입니다. 도파민의 역치가 높아지고, 앞으로 웬만한 수치 상승에는 독자가 반응하지 않게 됩니다. 그럼 더 높은 수치 상승을 보여주면 되지 않느냐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렇게 되면 작가가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작품의 파워밸런스가 무너지게 됩니다.
마치며
"수치 표기법"은 간단하고 직관적인 성장 피드백을 줄 수 있어, 독자 몰입에 큰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상태창, 레벨업, 스테이터스만으로 이야기를 이끌면 파워 인플레나 단순화 문제에 부딪히기 쉽죠.
그러므로 “소소한 보상” 요소로 활용하되, 캐릭터 관계나 스토리 갈등 같은 여타 재미 요소와 균형 있게 결합해야 오래 지속되는 흥미를 만들 수 있습니다.
모두 건필하시길 바랍니다! 🙌
'웹소설 강의 > 웹소설 집필의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명 웹소설에 무조건 등장하는 공식 : 낙관적 편향 (0) | 2025.03.21 |
---|---|
[웹소설 잡담] 무거운 작품이 곧 명작 웹소설일까? (0) | 2025.03.20 |
[웹소설 잡담] 웹소설 작가 분노의 순간 : 설정 오류 아닌가요? (0) | 2025.03.18 |
[웹소설 잡담] 작가의 자존감과 장르 취향: 좋아하는 거 쓰는 게 왜 중요할까? (0) | 2025.03.17 |
[웹소설 잡담] 플롯의 원 패턴화는 꼭 탈피해야 할까? (0)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