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소설을 투고하고, 심사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기획서 작성이 필수입니다. 이러한 기획서는 편집자의 내부 심사 과정을 거치죠. 그렇기에 단순한 줄거리 요약이 아닌, 편집자의 흥미를 끌 수 있는 요소들을 포함해야 합니다.
이번 글은 이런 투고용 웹소설 기획서를 보다 실전적으로 작성하는 팁을 소개합니다. 이전에 작성된 기획서 기본 항목 소개와 연계해, 5가지 핵심 원칙을 통해 투고 성공률을 높이는 실제 팁을 제시합니다.
목차
1. 들어가며
공모전 등의 케이스를 제외한다면 웹소설 작가로 데뷔하는 루트는 세 가지입니다. 유료 전환, 매니지먼트 컨택, 투고죠. 이 중 매니지먼트와 연계하는 항목은 컨택과 투고입니다. 컨택과 투고의 차이점은 명확합니다.
"매니지먼트가 내 작품을 알고 있는가?"
투고는 매니지먼트가 내 작품의 존재를 모르는 경우가 절대다수입니다. 혹은 작품이 세상에 공개되지 않았을 수도 있죠. 그러므로 투고용 웹소설 기획서는 작품의 ‘첫인상’이나 다름없습니다.
따라서 기획서가 매력적이지 않으면, 작품이 아무리 좋아도 담당자가 흥미를 잃을 수 있습니다.
이번 게시물은 이렇게 중요한 투고용 기획서 작성 팁, 5가지를 소개합니다.
✒️ 투고 관련 이전 게시물을 읽지 않으셨다면 아래 링크로 기본 작성법과 양식을 확인하세요!
[웹소설 작가가 되어보자] 10. 투고용 웹소설 기획서 작성하기
출판사나 플랫폼에 웹소설을 투고할 계획이라면, 투고용 웹소설 기획서 작성법을 익혀야 합니다. 이번 게시물에서는 투고용 웹소설 기획서 공용 양식을 무료로 배포하고, 각 항목별 작성법과
ztoobee.com
2. 웹소설 투고용 기획서 작성의 5가지 원칙
2-1. 강렬한 제목으로 시선을 사로잡자
작품 제목은 기획서의 포장지이자, 작품의 매력을 한눈에 전달하는 요소입니다. 제목만 보고도 작품의 성격과 분위기를 짐작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집필 의도, 로그라인도 물론 중요합니다. 다만,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건 제목입니다.
- 독자·편집자에게 작품 분위기를 즉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한두 단어를 고민해 보세요.
- 아래 링크를 통해 제목 관련 실전 팁을 대신하겠습니다.
[웹소설 잡담] 웹소설 제목 잘 짓는 법 – 트렌드에 맞는 실전 예시
웹소설 제목 짓는 법, 고민되시나요? 제목은 독자가 가장 먼저 접하는 요소이며, 작품의 흥행 여부를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직관성, 어그로, 트렌드 등 신인 작가가 반
ztoobee.com
✅ 좋은 제목의 기준
- 작품의 장르와 핵심 소재를 반영할 것
- 내용을 유추할 수 있도록 직관적일 것
- 인기 키워드를 조합하여 유입을 고려할 것
📌 예시
- O: 「무한 회귀로 초월급 헌터」
① 장르와 핵심 소재 : 헌터, 회귀
② 직관적인 내용
③ 초월급, 무한 등의 인기 키워드 - X: 「경구리의 대모험」
① 장르와 핵심 소재 : 알 수 없음
② 추상적인 내용
③ 키워드 없음 - X: 「게이트 안에서도 밥은 해 먹어야지」
① 장르와 핵심 소재 : 헌터(게이트), 먹방?
② 추상적인 내용
③ 키워드 없음
좋은 제목은 작품의 정체성을 명확히 전달하며, 독자의 기대감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2-2. 집필 의도(기획 의도)는 타깃 독자를 겨냥해 작성
집필 의도는 "내 작품이 어떤 재미를 줄 수 있는가?"를 압축적으로 표현하는 항목입니다. 단적으로 말해 셀링 포인트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집필 의도는 작품을 홍보하는 광고 문구처럼 작성해야 합니다.
담당자가 "이 작품이 독자들에게 어떤 매력을 줄 수 있는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합니다.
✅ 집필 의도 작성법
- 내 작품이 타 작품과 차별화되는 요소를 강조할 것
- 특정 타겟 독자층을 겨냥해 매력을 어필할 것
- 작품이 주는 재미 포인트를 분명하게 표현할 것
📌 예시
- "빠르고 통쾌한 사이다 전개로 독자들에게 짜릿한 카타르시스를 선사합니다."
- "치밀한 복선과 회수, 몰입감 있는 전개로 독자들이 멈출 수 없게 만드는 작품이 될 것입니다."
2-3. 로그라인(작품 소개)은 짧고 직관적으로
로그라인은 담당자가 첫 번째로 읽게 되는 핵심 부분입니다. 장황한 설명 대신, 주인공의 목표와 갈등을 중심으로 간결하게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목을 통해서 얻을 수 없는 정보를 보완하듯 작성하는 편이 좋습니다.
✅ 좋은 작품 소개의 구성 요소
- 주인공의 개성(성격, 결핍, 욕망 등)을 표현
- 현재 처한 상황과 주요 갈등을 서술
📌 예시
- "악역영애로 빙의한 황녀, 몰락을 피하려면 직접 농사를 지어야 한다?"
- "미래를 아는 헌터는 인재를 발굴해 살아남아야 한다."
이처럼 간결하되 서사를 유추할 수 있는 문장을 작성하면, 편집자가 기획서를 긍정적으로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2-4. 주인공은 개성 중심, 조연은 관계성을 중심으로
등장인물 소개에서는 주인공을 간결하면서도 매력적으로 표현해야 합니다. 단순한 외모 묘사보다, 인물의 목표와 특징을 중심으로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더불어 웹소설은 철저히 주인공 중심의 서사입니다. 그렇기에 조연 소개는 주인공과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 등장인물 소개 작성법
- 주인공의 주요 특징과 목표를 강조할 것
- 핵심 조연 2~3명만 포함하여 주인공과의 관계성을 강조할 것
2-5. 줄거리는 기승전결을 명확하게
줄거리는 작품의 전체적인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기승전결(발단, 전개, 위기&절정, 결말) 구조를 유지하며 작성해야 합니다. 편집자가 스토리의 전개 방식을 한눈에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줄거리 작성법
- 주요 사건을 중심으로 기승전결을 정리할 것
- 세부적인 설명보다는 핵심 사건만 간추릴 것
- 주인공 '중심!'. 주인공의 감정 변화와 성장 과정을 포함할 것
기승전결의 각 단계가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흐름을 명확하게 작성해야 담당자가 작품을 빠르게 이해하고, 흥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예시는 굉장히 길어지기에, 위에 첨부한 투고 관련 이전 게시물 링크를 참고하시길 권장드립니다.
3. 마치며
기획서는 단순한 작품 소개서가 아닙니다. 편집자가 "이 작품 계약하면 좋겠다!"라고 생각하게 만드는 제안서입니다.
📌 오늘 배운 핵심 요약
- ✅ 제목은 강렬하고 직관적으로
- ✅ 집필 의도는 작품의 차별점과 타겟 독자를 강조
- ✅ 로그라인은 짧고 직관적으로
- ✅ 주인공은 특징과 개성 중심, 조연은 관계성을 중심으로
- ✅ 줄거리는 기승전결을 명확하게
이 원칙을 적용하면 보다 완성도 높은 기획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투고 준비, 심사 결과를 기다리는 중인 작가님들 모두 좋은 결과 있기를 바랍니다! ✍️
'웹소설 강의 > 웹소설 집필의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소설 잡담] 로맨스 웹소설 남자 주인공의 이중성 (0) | 2025.03.13 |
---|---|
[웹소설 잡담] 주인공은 왜 비범한 인물이어야 할까? (0) | 2025.03.13 |
[웹소설 잡담] 대사만 잘 써도 성공한다: 인물 배경과 말투의 상관관계 (0) | 2025.03.07 |
[웹소설 잡담] 뻔한 전개는 지루하다? 오히려 독자가 원하는 클리셰 공식 (0) | 2025.03.07 |
[웹소설 잡담] 웹소설 초반부 몰입감을 높이는 법 (0) | 2025.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