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소설 작가로서 실력을 단기간에 향상하고 싶다면?🚀
단순히 열심히 쓰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열심히 쓰는 것보다는 노력의 방향성이 더욱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최단기간에 웹소설 실력을 극적으로 올리고 데뷔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목차
1. 다독(多讀), 다작(多作), 다상량(多想量)
웹소설을 잘 쓰고 싶다면 결국 많이 읽고, 많이 쓰고, 많이 상상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 ✅ 많이 읽어야 하는 이유
웹소설에는 특정한 문법과 규칙이 있습니다. 문체, 사건 전개 방식, 회차 마무리법, 대사의 활용법 등은 단순한 감이 아니라 꾸준한 읽기를 통해 체득됩니다. - ✅ 많이 써야 하는 이유
"나는 글을 잘쓰니까 또는 많이 읽었으니까… 쓰기만 하면 데뷔 정돈 쉽지 않을까?"
아닙니다. 웹소설은 연습과 경험이 꽤나 중요한 분야입니다. 어떤 분야든 많이 해본 사람이 실력이 빠르게 늘겠지만, 웹소설은 특히나 집필량이 중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절대적 집필량이 많다면, ① 판매할 상품(회차 수)이 많은 건 물론이고, ② 읽으며 배운 웹소설의 문체, 사건 전개 방식 등을 몸으로 체득할 수 있습니다.
특히, ②번인 체득의 중요성을 등한시하는 지망생 분들이 많습니다. 보는 눈(독자로서의 안목)과 쓰는 손(웹소설 작가로서의 필력)의 수준은 그 누구도 일치하지 않습니다. 보는 눈이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에 따라 쓰는 손의 훈련이 뒷받침되었을 때에서야 비로소 빛을 보이는 것이 웹소설입니다. - ✅ 많이 상상해야 하는 이유
작품의 핵심은 소재입니다. 조금이나마 개성을 띠는 소재를 장르적 문법(헌터물, 악역영애물 등)의 형식으로 풀어나가는 이야기가 곧 웹소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웹소설 시장에서 살아남으려면 ‘소재’가 필수인데, 상상을 통해 최소한의 재미를 갖춘 아이디어를 발굴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 방법의 단점은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는 것입니다.
모든 사람에게 주어진 하루는 24시간뿐이죠.
📌 무작정 많이 읽고, 많이 쓰고, 많이 상상해서 실력을 끌어올리는 데 걸리는 시간은 과연 얼마나 될까요?
아마 생각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입니다.
결국, 빠른 결실을 맺으려면 두 가지 선택지가 있습니다.
- ✔ 고정적으로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거나
- ✔ 다독·다작·다상량에 소요되는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거나
물론, 잠을 덜 자거나, 씻는 시간을 줄이거나, 식사를 대충 해결하는 방법(고정 소요 시간)도 단기적으로는 가능합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지속하면? 삶이 피폐해지고, 결국 글을 쓰는 에너지도 고갈될 것입니다.
🎯 결론적으로, 다독·다작·다상량 정공법을 효율적인 방법으로 활용해야겠죠. 그러기 위해선,
- ✔ 시간 낭비 없이 핵심만 읽고 분석하는 방법
- ✔ 빠르게 쓰면서도 퀄리티를 유지하는 방법
- ✔ 올바른 연습법을 통해 성장 속도를 극대화하는 방법
이 세 가지를 익혀야 합니다.
이제부터 한정된 시간 내에 웹소설 실력을 극대화하는 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2. 인풋을 효율적으로
많이 읽는 것이 중요하지만, '모든 작품'을 '무작정' 읽는 것은 비효율적입니다.
시간은 한정적이므로 최대한 효과적으로 읽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 ✅ 필수적으로 읽어야 할 작품
우선, 연재할 장르와 플랫폼을 선정해야 합니다. 아직 장르와 플랫폼을 선정하지 못하셨다면 아래 게시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연재하고자 하는 장르의 인기 작품을 찾습니다. (연재할 플랫폼에서 최근 1년 이내에 연재된 것들로) 많이 읽을수록 좋지만, 여건이 되는 한도 내로 무료 회차를 읽습니다. (최소 10 작품 이상 추천드립니다.)
[웹소설 작가가 되어보자] 03. 장르 및 플랫폼 선정
웹소설 집필 이전에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작품 장르와 연재 플랫폼(혹은 투고)'을 선정하는 것입니다. 적절한 장르와 플랫폼이 선정되지 않은 이야기는 그 잠재능력에 비해
ztoobee.com
- ✅ 필수적으로 읽어야 할 부분
① 대사
웹소설은 대사의 비중이 매우 큽니다.
대사만 읽는 독자도 많고, 그 자체로도 정보를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주요 수단이죠.
👉 대사를 통해 인물의 개성과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을 분석하세요.
② 회차 마무리
웹소설의 회차 말미는 독자의 구매 욕구를 자극하는 핵심 포인트입니다.
✔ 기승전결 중 기승전 혹은 전결기까지만 보여주는 방식
✔ 기대감을 유발하는 기법 (보상을 예고하는 구조)
이런 패턴을 분석해보세요.
③ 사건 전개
한 에피소드가 끝난 후, 거꾸로 되짚으며 분석해보세요.
✔ 사건을 전개하기 위해 어떤 장치가 사용되었는지
✔ 긴장감을 유지하는 방식은 무엇인지
④ 댓글
독자의 반응이 곧 정답입니다.
어떤 장면에서 독자가 가장 재미를 느꼈는지, 어떤 캐릭터에 감정 이입을 하는지 댓글을 통해 파악하세요.
필수적으로 읽어야 할 작품들을 선별하고, 필수적으로 읽어야 할 부분에 집중하는 방식으로 빠른 인풋 실현이 가능합니다!
P.S. 인풋을 통한 인사이트를 글로 정리하는 건 좋은 습관입니다. 그렇지만 웹소설의 재미를 느끼지 못할 정도로 인사이트 정리에 몰두하는 건 비추천합니다. 어디까지나 재밌는 선에서! 인사이트는 체감하는 선에서도 충분합니다! 무조건 장문으로 길게 정리할 필요는 없습니다 😊
3. 빠르게 써야 많이 쓴다.
많이 쓰는 것만큼 중요한 게 빠르게 쓰는 것입니다.
빠르게 써야 투자하는 시간 대비 많이 쓸 수 있겠죠.
이에 대해서 비유와 함께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 웹소설 자유연재란은 초보자 사냥터다.
웹소설 자유연재란을 초보자 사냥터라고 가정해 봅시다.
🟢 같은 시간 동안 사냥하는 몬스터(=집필하는 글) 개수가 많을수록 경험치(=실력)도 빨리 쌓입니다.
🔴 그런데 한 문장에 10분씩 고민하며 쓰면? → 경험치가 쌓이는 속도가 더딥니다.
🟢 더불어 상급 사냥터(=일반연재란)로 빨리 넘어갈수록 쌓이는 경험치는 더욱 늘어나겠죠?
자유연재란, 일반연재란, 작가연재란 등 수익화와 가까워질수록 실력은 빠르게 늘어납니다. 독자 반응을 더욱 많이, 빠르게 얻을 수 있기 때문인데요. 또한, 이런 연재란 승급을 위해선 집필한 글의 절대량이 필수 조건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빠르게 써야 할까요?
이를 설명하기 위해 우선, 회차당 집필 시간이 늘어지는 원인들에 대해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는데요.
- ✅ 회차당 집필 시간이 늘어지는 원인
✔ 글을 쓰면서 퇴고하고 한 번에 완성하고자 한다.
✔ 한 장면에 너무 오래 머문다.
✔ 회차가 기획한 방향과 다르게 흘러간다.
보통 생각이 너무 길어질 때 발생하는 일들입니다. 위와 같은 방식은 비효율적입니다. 더불어 이 세 가지 원인들은 서로 유기적인 성향을 띠고 있습니다. 한 문장·문단을 쓰면서 고치고, 힘을 주다 보니 장면이 늘어지게 되고, 늘어지다 보니 분량이 늘어나고, 회차 분량은 진즉에 다 채웠음에도 원하는 결말엔 도달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 두 가지 선택지가 주어지죠.
- 회차를 쪼개 두 편으로 만들거나
- 다시 집필(=두 번째 퇴고)하거나
전자의 경우 당초 1회 차 분량으로 기획한 스토리를 반으로 쪼갠 것이기에, 충분한 재미 요소를 갖추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후자의 경우 이미 퇴고하면서 집필한 것을 다시 퇴고하고, 반으로 줄어든 분량을 다시 채우는 과정에서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웹소설은 빠르게 쓰고, 후에 수정하는 것이 정석입니다.
당연하게도 빠르게 쓰는 것은 좋지만, 무작정 빠르게 쓰는 게 능사는 아닙니다. 대충 쓰게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죠. 단지 빠르게 쓰는 것만이 목표가 아닌, 빠르게 쓰면서도 그럴듯한 글을 집필하는 방법에 대해선 아래의 집필 흐름도를 통해서 알아보겠습니다.
3-1. 집필 흐름도
그렇다면, 제대로 빠르게 쓰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아래 단계를 따라가면 자연스럽게 집필 속도가 향상됩니다.
- 📌 효율적인 집필 단계
① 플롯, 기획을 짠다.
➡ 에피소드의 로그라인, 키워드, 주요 장면을 미리 정리
② 회차별 로그라인을 작성한다.
➡ 한 회차를 단 한 줄로 요약하여 방향성을 잡음
③ 대사를 먼저 배치한다.
➡ 웹소설은 대사가 핵심! 먼저 대사를 배치하면 흐름이 자연스러워짐
④ 회차의 결말이 적절한지 확인한다.
➡ 다음 화로 넘어가고 싶게끔 마무리가 되었는지 점검
⑤ 대사로 설명이 부족한 부분을 지문으로 보강한다.
➡ 묘사와 상황 설명을 추가하여 독자가 이해하기 쉽게 만듦
⑥ 퇴고 후 수정한다.
➡ 불필요한 문장을 삭제하고, 가독성을 높이기
이 과정만 익숙해져도 웹소설 집필 속도가 2배 이상 향상될 것입니다.
3-2. 집중이 잘 안 된다면?
물론, 집필 흐름도를 따라가고 있음에도 속도가 붙지 않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런 때는 집필 중 잡생각을 잘 떨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인데요.
집필 중 잡생각이 떠오르는 게 습관이 되면 집필 속도에 큰 장애 요인이 되므로, 아래의 사이트를 통해 습관 탈피를 도전해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The Most Dangerous Writing App
The Most Dangerous Writing App. If you stop typing, all progress will be lost. Now with over 500+ writing prompts to choose from.
www.squibler.io
일정 시간 동안 집필하지 않으면 텍스트가 사라지는 웹사이트입니다. 자세한 사용법은 검색 혹은 추후 게시물을 통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4. 상상은 집필 이전에!
다독·다작·다상량의 흐름은 대명사나 다름없게 되었지만, 정석적인 집필 흐름에 따라 배치하자면 다독·다상·다작입니다.
위에서 설명드린 [3-1. 집필 흐름도]를 참고하여 집필 이전에 기획을 마쳐놓도록 합시다!
집필과 기획을 같이하게 된다면, 집필 시간이 무한정 늘어나는 것에서 끝나는 게 아닙니다.
기획을 갈아엎게 된다면 집필도 다시 해야 한다는 사실… 꼭 기억하시길 바라겠습니다.
5. 마치며
웹소설 실력을 가장 빠르게 올리는 법,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많이 읽되, 효율적으로 읽기
✅ 많이 쓰되, 빠르게 쓰기
✅ 완벽을 추구하지 말고, 반복해서 연습하기
웹소설 작가는 시간과 싸우는 직업입니다.
한 작품을 너무 오래 붙잡고 있으면 기획 방향이 흐트러지고, 수익에도 영향을 줍니다.
보다 효율적인 연습법을 통해 더 빠르게, 더 완성도 높은 작품을 집필해 보세요!
'웹소설 강의 > 웹소설 집필의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소설 잡담] 웹소설 초반부 몰입감을 높이는 법 (0) | 2025.03.06 |
---|---|
[웹소설 잡담] 웹소설 제목 잘 짓는 법 – 트렌드에 맞는 실전 예시 (0) | 2025.03.05 |
[웹소설 잡담] 웹소설에서 배경과 세계관이 재미에 끼치는 영향 (0) | 2025.03.05 |
[웹소설 잡담] 맞춤법은 얼마나 중요할까? (0) | 2025.02.26 |
[웹소설 잡담] 웹소설 작가들의 현실적인 수익은 얼마나 될까? (0) | 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