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소설 작가님들을 위한 반가운 소식이 찾아왔습니다.블라이스와 서울산업진흥원(SBA)이 주최하는 2025 블라이스 X SBA 정식연재 공모전 요강이 발표되었기 때문인데요.이번 게시글에서는 공모 요강을 함께 살펴보며, 공모전 분석 및 팁을 전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2025 블라이스 X SBA 공모전 개요주최 및 주관 : 블라이스(Blice), 서울산업진흥원(SBA)공모 부문 : 웹소설 (판타지) / 웹소설 (로맨스) / 웹툰접수 기간 : 📌 판타지 부문 : 모집 [04.01~05.31] / 심사 [06.01~06.30] / 발표 [07.01]📌 로맨스 부문 : 모집 [05.01~06.30] / 심사 [07.01~07.31] / 발표 [08.01]참여 자격 : 신인 및 기성 작가 누구나응모 방법 : 블..
"주요 플랫폼, 트렌드에 꼭 맞춰야 하나?" 고민하는 작가님들이 참 많죠. 결론은 "맞추면 좋습니다." 하지만, "내 상황과 여건이 더 중요합니다." 이 이야기가 오늘 다룰 주제입니다. "내 상황과 여건에 맞는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트렌드와 플랫폼보다 중요하다!" 왜 그런지 함께 살펴볼까요? 첫 웹소설 연재 시, 미시적인 시각에 사로잡힐 경우가 많아요웹소설 작가들은 당연히 주요 플랫폼에서 연재하고 싶죠. 더불어 독자 풀이 넘치는 장르를 써서 많은 독자들을 사로잡고 싶기도 할 것입니다. 이는 마치 유행하는 패딩을 유행하는 브랜드에서 구매하고 싶은 심리와 비슷합니다. 다만, 다른 점이라면 주요 플랫폼 연재, 인기 장르 및 트렌드는 실질적인 수익과 연관되어 있다는 점일 겁니다. 이것이 첫 연재를 앞둔 작가들의..
웹소설을 읽다 보면, 주인공 중 열에 아홉은 절망적인 상황에 놓여있습니다. 그리고 그 아홉 중 아홉은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성공을 확신하죠. 이는 사실 굉장히 비현실적입니다. "웹소설 주인공은 비범해야 한다.", "주인공에 공감이 가능해야 한다." 이 두 문장은 작법에 대해 공부한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여기서 한 가지 의문점이 있죠. 바로 "비현실적인 인물에 어떻게 공감하라는 거야?"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행동의 비범함과 사유의 평범함을 조화시키는 것, 독자와 유사한 접점을 만들 것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그런 방법론들 중에서도 단연코 '비범한 주인공'과 '평범한 독자'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1순위 요인은 낙관적 편향입니다. 낙관적 편향이 뭘까요? 그리고 이 낙관적 편향이..
웹소설 작품군을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 분위기로 작품을 구분할 수 있죠. 하나는 가볍고 경쾌한 소설, 다른 하나는 무겁고 진지한 소설입니다. 작품의 무게감을 통해 독자들은 전혀 다른 분위기를 경험하게 됩니다. 단적으로 말하자면 가벼운 무게감의 소설은 읽기 편하고, 무거운 소설은 몰입감이 뛰어나죠. 각각 모두 중요한 특징이자 장점입니다. 그런데 "과연 어느 쪽이 유리할까?"라는 질문에는 간단한 답이 없다는 사실이 흥미롭습니다. 가벼운 작품은 머리 쓰지 않고 읽을 수 있어서 접근성이 뛰어나고, 무거운 작품은 탄탄한 몰입감을 주어 "명작"이라 불리기에 조금 더 이점이 있으니까요. 물론, 이점이 있다는 것이지. 무거운 작품이 곧 명작이란 것은 아닙니다. 더불어, 쉽고 편하게 즐기는 스낵컬처의 성향을 띤 웹소설이..
웹소설을 읽다 보면, 상태창이나 레벨·스탯 같은 '수치적' 요소가 자주 등장합니다. 처음엔 "이 단순한 숫자놀음이 정말 재밌을까?" 의문이 들지만, 막상 체험해 보면 "수치 상승의 재미"가 꽤 강력하다는 걸 깨닫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수치 표기법"이 왜 독자와 작가 모두에게 매력적인 장치인지, 수치의 장점과 단점, 그리고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가볍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웹소설에서 왜 '수치적 표현'이 자주 쓰일까?✅ 직관적으로 주인공 성장 보여주기주인공이 얼마나 강해졌는지 묘사하는 데에 지문을 할애할 필요가 없습니다. 더불어 독자들도 굳이 이해를 위한 지문을 피곤하게 읽지 않아도 됩니다. 간단하게 "주인공이 얼마만큼 성장했구나" 체감할 수 있습니다.✅ 소소한 보상, 도파민그로 인해서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